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- Bash
- 좌절교육
- Kernel
- windows
- Hack
- Disk
- PERL
- cadre
- PORT
- Performance
- 솔라리스
- DNS
- rsync
- ext4
- http
- CPU
- 칭찬교육
- 리눅스
- pid
- rm
- apachetop
- Linux
- iptables
- 쇼펜의상속자 #킨텍스메가쇼 #섬유향수탈취제
- Cache
- rm -rf
- goaccess
- Python
- 디스크
- ext3
- Today
- Total
Ben's
lilo install 본문
1. 부팅되는 디스크를 준비한다(os나 architecture 상관 없음)
2. 부팅되는 디스크를 PM 에 연결하고 Lilo를 심고자 하는 디스크를 SM 에 연결하고 부팅한다.
3. 부팅이 되면 SM 에 연결된 디스크의 주 파티션을 마운트 한다.
4. SM 에 연결된 디스크에서 boot loader 를 심기 위한 작업을 한다.
cp -a /disk/etc/lilo.conf /disk/etc/lilo.conf.hdc
vi /disk/etc/lilo.conf.hdc
-----------------------
boot=/dev/hdc -> 수정
disk=/dev/hdc -> 추가
bios=0x80 -> 추가
map=/disk/boot/map -> 수정
install=/disk/boot/boot.b -> 수정
prompt
timeout=50
message=/disk/boot/message -> 수정
linear
default=linux-2.4.9
image=/disk/boot/vmlinuz-2.4.2-2 -> 수정
label=default
read-only
root=/dev/hda1
image=/disk/boot/vmlinuz-2.4.7 -> 수정
label=linux-2.4.7
read-only
root=/dev/hda1
image=/disk/boot/vmlinuz-2.4.9 -> 수정
label=linux-2.4.9
read-only
root=/dev/hda1
-----------------------
/disk/sbin/lilo -C /disk/etc/lilo.conf.hdc
5. 서버를 끄고 boot loader 가 심어진 hdc 디스크를 PM에 연결하여 부팅하면 성공.
'리눅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커널 rpm 으로 떨구기 (0) | 2013.01.21 |
---|---|
fc3 mirror (0) | 2013.01.21 |
smartctl(smartmon tool) (0) | 2013.01.21 |
sftp xferlog 남기기 (0) | 2013.01.21 |
linux boot sequence (0) | 2013.01.21 |